🔍 ‘AI 붐’ 타고 SK하이닉스, 사상 첫 D램 1위
SK하이닉스가 드디어 해냈습니다.
1983년 창사 이후 처음으로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33년간 왕좌를 지켜온 삼성전자를 제쳤습니다.
이 극적인 반전의 중심에는 바로 고대역폭메모리(HBM) 가 있었습니다.
AI 열풍과 맞물려 HBM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SK하이닉스가 시장 판도를 뒤집는 데 성공한 것입니다.
📊 1분기 D램 점유율 36%, 사상 첫 1위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SK하이닉스: 36%
- 삼성전자: 34%
- 마이크론: 25%
불과 1년 전만 해도 삼성전자 41%, SK하이닉스 30%였던 점유율이
AI 수요 중심의 시장 구조 변화로 인해 급격히 뒤바뀐 것입니다.
🚀 HBM으로 대반전…70% 점유율 독주
SK하이닉스의 급부상에는 HBM 전략의 성공이 핵심입니다.
- 10년 이상 HBM에 투자
- HBM3E 12단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
- 엔비디아에 독점 공급하며 점유율 70% 달성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HBM 시장이
- 2025년: 380억 달러(약 55조 원)
- 2026년: 580억 달러(약 83조 원)
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SK하이닉스의 독주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실적도 역대급…영업이익 32조 전망
이와 같은 시장 우위는 SK하이닉스의 실적 전망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2024년 영업이익: 23.5조 원
- 2025년 전망치: 31.6조 원 (전년 대비 +30%)
이는 삼성전자의 전체 예상 영업이익(31조 원)과 맞먹는 수치이며,
삼성의 반도체 부문(DS)의 영업이익은 15조 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
🏁 삼성전자, 33년 만에 1위 자리 내줘
삼성전자는 1992년 64Mb D램 세계 최초 개발 이후
한 번도 1위 자리를 내준 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범용 D램 수요 감소,
중국의 저가 공세,
그리고 HBM 시장 대응 지연이 겹치며
SK하이닉스에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 삼성의 반격…HBM3E·HBM4로 대응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부터 HBM3E 양산 확대에 나서며
HBM4, 커스텀 HBM4 제품도 준비 중입니다.
목표는 AI 특화 고객 수요에 맞는 맞춤형 제품 대응입니다.
전영현 DS부문장: “HBM4 개발을 예정대로 추진 중이며,
이르면 2분기부터 생산 확대에 나설 것”
삼성전자의 반격이 시장 점유율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2025년 하반기 이후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입니다.
📝 마무리 정리
SK하이닉스는 AI 붐 속 HBM 수요를 선제적으로 공략하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사상 첫 1위를 달성했습니다.
삼성전자는 33년 만에 1위 자리를 내주고
HBM3E와 차세대 HBM4 제품으로 반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D램 시장의 패권 전쟁, 이제는 AI 메모리(HBM) 를 중심으로
새로운 경쟁의 막이 올랐습니다.
전기차 캐즘·관세폭탄…기아가 하이브리드에 집중한 이유
🚘 기아, 하이브리드와 PBV로 ‘관세 파도’ 넘는다기아(KIA) 가 2030년까지의 중장기 전략을 공개하며전기차 의존도를 낮추고 하이브리드와 PBV(목적기반 차량) 를 핵심 성장 축으로 삼겠다고 밝
fingerplay.co.kr
반도체 관세 적용 확대 국내 기업 영향 메모리 가격 전망
💽 마이크론, D램·SSD 가격 인상…삼성·SK는 ‘신중 모드’2025년 4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 직접적인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미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
fingerplay.co.kr
2025 전기차 보조금 확대 조건과 혜택 신청 방법
🚗 전기차 보조금, 최대 1800만원까지 확대!2025년 4월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확대를 통해 내수 활성화 및 자동차 산업 보호에 나섰습니다. 기존보다 보조금 매칭 비율이 높아지면서 소비자 혜택
fingerpl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