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론, D램·SSD 가격 인상…삼성·SK는 ‘신중 모드’
2025년 4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 직접적인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미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Micron) 은 이에 선제적으로 D램 모듈과 SSD 가격 인상을 단행했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대응 여부를 놓고 고심 중입니다.
📦 완제품에만 적용되는 상호관세
이번 상호관세는 모든 반도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 개별 칩셋(DRAM, NAND 등) : 관세 제외
- D램 모듈·SSD 등 완제품 : 관세 적용 대상
이는 대부분의 메모리 반도체가 모듈 형태 또는 SSD 등 저장장치 형태로 판매된다는 점에서
사실상 메모리 전 제품군이 관세 대상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 마이크론, 관세 대응 위해 가격 인상
미국 메모리 기업 마이크론은 관세 부과에 따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이미 고객사에 가격 인상 서한 발송
- 지난달 일부 D램 제품 11% 인상에 이어 추가 인상
- 생산지는 중국·대만·인도 등 관세율 높은 지역 중심
국가 | 상호관세율 |
중국 | 104% |
대만 | 32% |
인도 | 26% |
싱가포르 | 10% |
이처럼 높은 관세율로 인해 수익성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 삼성·SK, 국내·중국 생산…영향은 제한적?
한국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역시 주요 D램 모듈 및 SSD를
한국과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어 관세의 영향을 피할 수 없습니다.
- 삼성전자: 한국(천안·온양), 중국(쑤저우)
- SK하이닉스: 한국(이천), 중국(충칭)
- 한국 수출 제품에도 25% 관세율 적용
하지만 전체 수출 중 대미 비중은 약 7% 수준으로,
단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 트럼프 관세 정책 지켜보며 ‘관망’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아직까지 가격 인상 여부를 공개적으로 결정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 미국 정부의 추가 정책 발표를 지켜보겠다는 입장
-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최소 25% 관세 적용 가능성 고려
- 시장 반응 및 수요 위축 가능성 분석 중
국내 기업들도 가격 인상 가능성은 높지만,
타이밍과 폭 조절이 중요한 전략 포인트가 되고 있습니다.
📝 마무리 정리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메모리 완제품(D램 모듈, SSD 등) 이 관세 대상에 포함되면서
마이크론은 선제적인 가격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관세 부담을 안고 있지만, 대미 수출 비중이 낮아
일단은 관망 중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가격 인상 가능성이 높고,
글로벌 반도체 가격 변동성 역시 커질 전망입니다.
반도체 관련 업계 종사자와 투자자라면
향후 미국의 관세 정책 흐름과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을 예의주시해야 할 시점입니다.
2025 전기차 보조금 확대 조건과 혜택 신청 방법
🚗 전기차 보조금, 최대 1800만원까지 확대!2025년 4월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확대를 통해 내수 활성화 및 자동차 산업 보호에 나섰습니다. 기존보다 보조금 매칭 비율이 높아지면서 소비자 혜택
fingerplay.co.kr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 GTX-B 역세권 분양가 입지 장점
🏢 수도권에서 보기 드문 6억대 신축 아파트‘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는 최근 분양가 상승세 속에서도 전용 84㎡ 기준 6억~7억 원대의 가격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어요.서울 평균 분
fingerplay.co.kr
2025년 아파트 가치 핵심 조건 키워드 BEST
🏙️ 아파트 가치의 핵심 키워드, ‘BEST’부동산 분석업체 ‘부동산인포’는 2025년 아파트 가치 상승의 핵심 키워드로 'BEST'를 제시했어요.이는 다음 4가지 요소를 의미합니다.Big scale (대규모
fingerpl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