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상장폐지 위기 기업 리스트와 원인 분석 상장폐지 후 절차 안내

by 깨바 2025. 4. 10.
반응형

 

⚠️ 상장폐지 경고 기업 57곳…감사의견 거절 원인이었다

2025년 4월, 감사의견 거절 또는 한정으로 인해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기업이
총 57곳에 달하는 것으로 한국거래소가 발표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 14곳, 코스닥시장 43곳으로
작년 대비 각각 1곳씩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장폐지 경고 기업들의 사유, 절차, 향후 일정 등을 정리해드립니다.


📉 감사의견 거절, 상장폐지 사유로 직결

반응형

상장회사는 매년 사업보고서와 함께 외부 감사인의 의견을 받아야 하며,
이때 감사의견이 ‘거절’ 또는 ‘한정’일 경우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합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사례에서는 상장유지에 직접적인 위협이 됩니다.

  • 최초 의견 거절 또는 한정: 상장폐지 사유 발생
  • 2년 연속 거절/한정: 개선 기간 부여 후에도 해소 안 되면 상장폐지 확정
  • 3년 연속: 대부분 상장폐지 결정 후 후속 절차만 남은 상태


🏦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폐지 사유 기업

  • 총 14곳 중 7곳, 이번에 첫 의견 거절
    • 범양건영, 금양 등
    • 이의 신청 가능: 4월 10일~28일 기간 중 기업별 상이
  • 2년 연속 의견 거절: 국보, 웰바이오텍, 한창 등
    • 개선 기간 4월 14일까지, 이후 상장공시위원회 심의 예정
  • 3년 연속 의견 거절: 아이에이치큐, KH필룩스, 세원이앤씨
    • 이미 상장폐지 결정, 소송 진행 중
     


🧾 코스닥시장 상장폐지 사유 기업

  • 총 43곳 중 19곳첫 한정 또는 거절 의견
    • MIT, 이오플로우, 이화공영 등
    • MIT는 이미 적격성 심사 통해 상폐 결정된 이력이 있음
  • 2년 연속 의견 한정/거절: 위니아에이드, 제넨바이오, 선샤인푸드 등 20곳
    • 이 중 일부는 이미 상장폐지 결정됨 (예: 이화전기, 이트론)
  • 3년 연속 의견 한정/거절: 한울BnC, KH미래물산, KH건설 등 4곳
    • 작년 9월 상장폐지 결정 → 추가 조치 없음
     


🕰 향후 일정과 기업의 선택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고 해서 바로 상장폐지가 되는 건 아닙니다.
해당 기업들은 일정 기간 내 이의 신청을 할 수 있으며,
거래소는 이에 따라 개선 기간 부여 여부를 판단합니다.

  • 이의 신청 기한: 각 기업별로 4월 10일 ~ 28일
  • 개선 기간: 일반적으로 1년 이내
  • 최종 결정: 상장공시위원회 심의를 통해 상장폐지 여부 확정

소송이 제기된 기업의 경우, 법원의 판단에 따라 상장폐지 효력 정지가 이뤄질 수도 있습니다.


📌 투자자 유의사항

상장폐지 경고가 들어온 종목은 거래정지 또는 상장폐지 가능성이 있어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투자 전에 아래 사항을 꼭 체크하세요:

  • 최근 사업보고서 감사의견 확인
  • 이의 신청 및 개선 기간 여부 확인
  • 법적 소송 진행 상황
  • 상장공시위원회 발표 일정


📝 마무리 정리

2025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기업은 총 57곳으로,
이는 감사의견 거절 및 한정 의견이 주요 원인입니다.

해당 기업들은 이의 신청과 개선 기간을 통해 기회를 얻을 수 있지만,
연속 의견 거절이 누적될 경우 상장폐지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관련 종목의 사업보고서 및 공시사항을 주의 깊게 확인하고,
단기적 이슈뿐 아니라 중장기 리스크 관리에 집중해야 합니다.

 

2025 전기차 보조금 확대 조건과 혜택 신청 방법

🚗 전기차 보조금, 최대 1800만원까지 확대!2025년 4월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확대를 통해 내수 활성화 및 자동차 산업 보호에 나섰습니다. 기존보다 보조금 매칭 비율이 높아지면서 소비자 혜택

fingerplay.co.kr

 

전기차 캐즘·관세폭탄…기아가 하이브리드에 집중한 이유

🚘 기아, 하이브리드와 PBV로 ‘관세 파도’ 넘는다기아(KIA) 가 2030년까지의 중장기 전략을 공개하며전기차 의존도를 낮추고 하이브리드와 PBV(목적기반 차량) 를 핵심 성장 축으로 삼겠다고 밝

fingerplay.co.kr

 

 

반도체 관세 적용 확대 국내 기업 영향 메모리 가격 전망

💽 마이크론, D램·SSD 가격 인상…삼성·SK는 ‘신중 모드’2025년 4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 직접적인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미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

fingerplay.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