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선을 앞두고 에너지 정책이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습니다. 주요 후보들은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수소 등 에너지 믹스와 전기요금, 기업 지배구조 개선 등 다양한 공약을 내놓으며 시장과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대선에서 쏟아진 에너지 공약과 관련 업종의 주가 변동, 그리고 향후 정책 방향을 종합해 정리합니다.
🔆 이재명 후보: 재생에너지 확대·석탄화력 폐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점차 높이고, 20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을 전면 폐쇄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주민 주도 태양광·풍력 사업을 ‘햇빛·바람 연금’으로 명명해, 지역 소득과 에너지 자립을 동시에 도모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원전은 ‘위험한 에너지’로 규정하면서도, 기존 원전과 수명 연장이 가능한 원전은 활용하되 추가 확대는 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RE100(2050년까지 기업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 달성을 위해 인프라와 제도 개선도 공약에 포함됐습니다.
전기요금 정책으로는 지역별 차등 요금제 도입을 제안, 생산지와 소비지 요금을 다르게 해 재생에너지 생산지에 더 낮은 요금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입니다.
⚡ 김문수 후보: 원전 비중 60% 확대·전기료 인하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에너지 안보’와 ‘경제성’을 앞세워 원전 비중을 60%까지 확대하겠다는 전략을 내세웠습니다. 대형 원전 6기 차질 없는 완공, 소형모듈원자로(SMR) 상용화, 산업용 전기료 절반 인하 등 원전 중심의 전력 체제 구축이 핵심입니다. 김 후보는 RE100에 대해 “구호일 뿐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회의적 입장을 밝혔으나, 10대 공약에는 ‘에너지 고속도로’ 연결 등 재생에너지 활용 강화도 포함했습니다. 수소 산업 육성과 수소차 보급 확대도 함께 추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 이준석 후보: 원전·시장경쟁·민간 혁신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친원전·친시장 기조를 바탕으로 민간 주도의 에너지 시장 경쟁과 기술 혁신을 강조합니다.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병행하되, 전력 산업에 경쟁체제를 도입해 효율을 높이겠다는 방침입니다. 수소 에너지의 산업·수송 전반 상용화도 공약에 포함됐습니다. 전기요금 역시 지역별 차등제와 더불어 시장경쟁 도입을 통해 구조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수소 에너지, 후보 모두 주목
세 후보 모두 수소를 미래 에너지로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도심형 수소충전소와 연료전지 확대, 김문수 후보는 수소차 보급과 산업 육성, 이준석 후보는 민간 중심의 수소 상용화에 방점을 두고 있습니다.
📈 대선 공약에 들썩인 원전·신재생에너지주
에너지 공약 발표 이후 원전·신재생에너지 관련 ETF와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HANARO 원자력iSelect, TIGER Fn신재생에너지, KODEX 신재생에너지액티브 등은 이달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전력, HD현대에너지솔루션, 대명에너지 등 원전·신재생 관련주가 정책 수혜 기대감에 급등했습니다. 정책 이슈가 식거나 선거 후 정치 리스크가 줄면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 전력시장 구조 개편·요금제 논쟁
전기요금 개편도 주요 공약입니다. 이재명 후보는 지역별 차등 요금제, 김문수 후보는 원전 확대를 통한 산업용 전기료 인하, 이준석 후보는 시장경쟁 도입을 통한 요금 혁신을 각각 제안했습니다. 전력 산업 구조 개편, 민영화, 경쟁 도입 등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 기업 지배구조·ESG 정책도 주목
에너지 정책과 함께 기업 지배구조 개선, 쪼개기 상장 규제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도 대선 핵심 이슈로 부상했습니다. 상법·자본시장법 개정, 주주 보호 강화 등은 후보별로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개선 필요성에는 공감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2025년 대선은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수소 등 에너지 정책과 ESG가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습니다. 각 후보의 공약에 따라 관련 업종과 시장이 크게 출렁이고 있어, 투자자와 국민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정책의 실현 가능성과 지속성, 시장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대구 5월 가볼만한곳 이곡장미공원 장미꽃축제 정보
🌹 도심 속 장미정원, 대구 이곡장미공원대구 달서구 이곡동에 위치한 이곡장미공원은 5월이면 장미꽃이 만개해 산책하기에 최적의 장소로 거듭납니다. 굳이 멀리 나가지 않아도, 도심 한복판
fingerplay.co.kr
괴산빨간맛페스티벌 2025 일정과 할인 혜택 총정리
📍 괴산의 봄을 붉게 물들이는 빨간맛페스티벌충청북도 괴산군에서 열리는 2025 괴산빨간맛페스티벌은 오는 5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개최됩니다. 괴산유기농엑스포광장과 동진천변 일원에
fingerplay.co.kr
춘천 제이드가든 수국 개화 시기와 산책 코스 안내
🌸 서울에서 1시간, 유럽풍 정원 속 수국이 만개한 제이드가든서울에서 차로 약 1시간 거리,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제이드가든 수목원은 이른 초여름, 수국이 만개하며 가장 아름다운 시기를 맞
fingerplay.co.kr